정보마당
알려드립니다
-
2025년 추석연휴 문여는 병의원 및 약국 안내
2025년 추석 연휴기간 우리구 문 여는 병의원 및 약국 현황을 붙임과 같이 안내드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추석연휴 문 여는 병·의원 약국 운영현황 실시간 안내-안내전화:다산콜센터(120),보건복지부 콜센터(129),구급상황관리센터(119), -인터넷:응급의료정보센터(www.e-gen.or.kr)- 스마트폰: 응급의료정보제공(어플리케이션) (※ 의료기관 및 약국은 개설자 개인 사정에 따라 명절 근무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전화 확인 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도봉구 보건소 상황실 운영 안내['25. 10.3.(금)~10.9.(목)09:00~18:00] -상황실 안내전화☎02-2091-4504◎도봉구 보건소 비상진료 운영 안내['25. 10.6.(월)~10.7.(화)09:00~18:00] - 연휴 중 2일간 - 장소: 도봉구보건소 3층☎02-2091-4654 - 진료과목: 내과 및 가정의학과 등 경증 환자
2025.09.29
-
2025년 모범음식점 신규 모집 안내
2025년「모범음식점」신규 모집 안내안전한 외식환경 조성을 위하여 관내 우수한 일반음식점을「모범음식점」으로지정하고자 하오니 관심 있으신 분들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신청기간:2025. 10. 10.(금) ~ 10. 20.(월)■신청대상:관내 일반음식점※제외:개업 후6개월 미만 또는 행정처분으로 지정취소 되어2년이 경과 되지 아니한 업소■제출서류:모범음식점 지정신청서1부■지정기준:「모범음식점 세부 지정기준 점검표」85점 이상 및「좋은식단」이행 기준 현장점검 적합업소■지정절차신규 모집현장조사·심의지정·통보희망 업소모집지정신청서접수→점검표기반으로현장점검및「음식문화개선운동추진위원회」심의 후 지정→지정결과 통보표지판교부및물품 지원‘25.10.10. ~ 10.20.‘25.10.21. ~ 11.17.‘25.11.18. ~■인센티브-모범음식점 지정증 및 표지판 교부-음식문화개선사업 관련 물품 지원-구홈페이지 모범음식점 홍보-영업시설개선자금 우선 융자(모범음식점 육성자금,시설개선자금)등■신청방법:신청서 작성하여 제출-보건위생과 방문,팩스,전자메일또는(사)한국외식업중앙회 도봉구지회 신청방문접수팩스전자메일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로3길117도봉구보건소, 2층 보건위생과02-2091-6280jhjeon@dobong.go.kr※문의처:보건위생과 식품행정팀(☎02-2091-4454)
2025.10.02
-
2025년 소독업소 지도점검 사전 예고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소독업자는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기준과 방법에 의하여 소독을 실시하고 적정 시설, 장비 및 인력 등을 갖추도록 규정되어 있는 바, 같은법 제57조(서류제출 및 검사 등)에 근거하여 소독업소에 대한 지도·점검을 다음과같이 실시할 예정이오니 주요 점검사항을 유념하여 대비해주시기 바랍니다.【2025년 소독업소 지도·점검】?점검기간:2025. 10. 20.(월) ~ 11. 14.(금)?점검방법: 기간 중 방문 점검?주요 점검사항(붙임 참조) ○ 시설·장비·인력 기준 적정 여부 ○ 변경신고 등 신고사항 이행 여부 ○ 소독기준 및 방법에 의한 소독실시 여부 ○ 소독실시 사항 기록·보존(2년) 여부 ○ 소독업자, 종사자 소독교육 이수 여부 등붙임 1.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별표5] ~ [별표9], [별표11]각 1부. 끝.
2025.09.30
-
반려동물 행동교정 교육 신청 안내
반려동물 행동교정 교육 안내>○사업개요1.사업명:반려동물 행동교정 교육2.대 상:행동교정 상담을 원하는반려견주3.일 정:10월22일(수)~23일(목) 1시~4시4.장 소:초안산반려견놀이터인근 상담부스5.내 용:반려동물전문가와반려견주의1:1상담-반려견의 문제행동으로 어려움을 겪고있는반려견주대상으로반려견의 문제행동을 분석하고 해결책 제시○신청방법전화접수(☎02-2091-4471~4475)★일일 참여인원18명(선착순 마감)○문의보건정책과 동물복지팀(☎02-2091-4475)
2025.09.26
건강소식
-
미리 꼭! 기억해두세요! 심근경색증 조기증상과 예방·관리
심근경색증 조기증상과 예방·관리를 위한 생활수칙미리 꼭! 기억해두세요!■심근경색증이란?-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인 관상동맥이 혈전에 의해 막혀 심장근육이 괴사되고, 심장마비가 생겨 심정지를 일으킬 수 있는 사망률이 매우 높은 질환■ 심근경색증의 원인- 흡연, 과체중, 고혈압, 신체활동 부족, 당뇨병 등■ 심근경색증의 증상· 갑작스러운 가슴통증· 호흡곤란· 식은땀·구토·현기증· 통증확산■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① 금연② 절주③ 건강한 식단④ 적절한 운동⑤ 적정 체중 유지⑥ 스트레스 관리⑦ 정기적인 혈압·혈당·콜레스테롤 측정⑧ 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 치료⑨ 응급상황 시 즉시 119 신고심근경색증의 조기증상을 미리 알아두고,응급상황이 발생하면 즉시 119에 신고하세요!출처: 질병관리청https://www.kdca.go.kr) 에서,매달 새로운 건강 지식을 알려주는 이달의 건강소식은 카카오톡 채널 '대한민국 질병관리청'을추가하고 메시지로 받아보세요.>자료게시: 도봉구보건소 지역보건과 심뇌혈관예방관리사업 담당(02-2091-4574)
2025.09.24
-
생활 속 자가(self) 건강관리 안내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행한 '생활 속 자가 건강관리 안내서'를 pdf로 올려드리니,생활 속에서 필요한 자가(self) 건강관리 방법과 증상별 정도에 따른 행동 지침을 확인하세요!발행처: 국민건강보험공단발행일: 2023. 5.관련문의: 1577-1000
2024.06.20
-
중동지역 여행자를 위한 메르스 예방수칙
- 발열 - 기침 - 인후통 - 호흡곤란 - 설사 - 구토" src="https://www.kdca.go.kr/html/a2/namoimage/images/000155/240531_%EB%A9%94%EB%A5%B4%EC%8A%A4-%EC%98%88%EB%B0%A9%EC%88%98%EC%B9%99_%EC%88%98%EC%A0%95_2.jpg"> 2~14일(평균 5일), 20~46% 정확한 전파경로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으나 중동지역 단봉낙타 접촉에 의한 감염 전파 보고, 사람 간 감염은 병원 내·가족 간 감염 등 밀접접촉에 의한 전파" src="https://www.kdca.go.kr/html/a2/namoimage/images/000155/240531_%EB%A9%94%EB%A5%B4%EC%8A%A4-%EC%98%88%EB%B0%A9%EC%88%98%EC%B9%99_%EC%88%98%EC%A0%95_3.jpg"> 건강상태 질문서(또는 Q-CODE) 제출, 의심증상이 있거나 확진환자와의 접촉을 알았을 경우 검역관에게 알리기 발열, 기침, 숨가쁨 등 의심증상이 발생한 경우나 확진환자와의 접촉을 알았을 경우 의료기관 방문 전 1339 또는 보건소로 신고" src="https://www.kdca.go.kr/html/a2/namoimage/images/000155/240531_%EB%A9%94%EB%A5%B4%EC%8A%A4-%EC%98%88%EB%B0%A9%EC%88%98%EC%B9%99_%EC%88%98%EC%A0%95_6.jpg">메르스(MERS)란?중동호흡기증후군 (메르스/MERS)은 중동호흡기 증후군을 유발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CoV)에 의한 호흡기 감염증1.메르스의 증상 및 징후○주요증상: 발열, 기침, 인후통, 호흡곤란, 설사, 구토 2. 메르스의 잠복기 및 감염경로○잠복기, 치명률 : 2~14일 (평균 5일), 20~46%○감염경로: 정확한 전파경로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으나 중동지역 단봉낙타 접촉에 의한 감염 전파 보고, 사람 간 감염은 병원 내, 가족 간 감염 등 밀접접촉에 의한 전파 3. 아직도 메르스가 발생하나요?○지금도 일부 중동지역에서는 메르스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구 분2024년2023년2022년2021년2020년2019년총계46172065222사우디45101861205UAE010231오만0020013카타르005013 4. 중동지역 여행 시 메르스 예방수칙○물과 비누로 자주 손 씻기: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지 않기○낙타와의 접촉 도는 익히지 않은 낙타고기, 생낙타유 섭취하지 않기○진료 목적 이외 현지 의료기관 방문 및 사람이 붐비는 장소 방문 자제 (부득이한 경우 마스크 착용)○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 피하기○기침, 재채기를 할 경우 옷소매로 입과 코 가리기 5. 중동지역 여행 후 주의 사항○입국 시 : 건강상태 질문서 (또는 Q-CODE) 제출, 의심증사잉 있거나 확진환자와의 접촉을 알았을 경우 검역관에게 알리기○입국 후 14일 이내: 발열, 기침, 숨가쁨 등 의심증상이 발생한 경우나 확진환자와의 접촉을 알았을 경우 의료기관 방문 전 1339 또는 보건소로 신고건강하고 안전한 중동지역 여행을 위해 잊지 마세요!①출국 전 메르스 정보와 예방수칙 확인하기②여행 중 메르스 예방수칙 지키기③입국 후 14일 이내 호흡기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병원 가기 전 1339 또는 가까운 보건소 전화하기
2024.06.04
-
훕(Whoop)소리가 나는 발작성 기침이라면 백일해를 의심해 보세요!
- 일반적 감기와 비슷하고 전염력이 가장 높습니다. - 콧물, 재채기, 가벼운 기침이지만 점점 심해집니다. - 매우 심한 기침, 발작성 기침으로 밤에 더 흔하고, 하루 평균 15회 이상 발생합니다. - 숨을 들이쉴 때 높은 소리의 훕(Whoop)소리 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 소아와 아기는 기침을 하는 동안 얼굴이 파래질 수 있고, 구토를 하거나 탈진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기침 발작 사이엔 아파 보이진 않습니다. - 발작성 기침이 서서히 줄면서 2~3주 내 사라집니다." src="https://www.kdca.go.kr/html/a2/namoimage/images/000153/240424-%EB%B0%B1%EC%9D%BC%ED%95%B4-%EC%98%88%EB%B0%A9%EC%88%98%EC%B9%993_1.jpg"> 접종일정에 맞춘 예방접종이 가장 중요합니다!" src="https://www.kdca.go.kr/html/a2/namoimage/images/000153/240424-%EB%B0%B1%EC%9D%BC%ED%95%B4-%EC%98%88%EB%B0%A9%EC%88%98%EC%B9%995_1.jpg">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휴지나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기 하루 최소 3회, 매회 10분 이상 " src="https://www.kdca.go.kr/html/a2/namoimage/images/000153/240424-%EB%B0%B1%EC%9D%BC%ED%95%B4-%EC%98%88%EB%B0%A9%EC%88%98%EC%B9%996_1.jpg">훕(Whoop)소리가 나는 발작성 기침이라면 백일해를 의심해 보세요!1.백일해란? 백일해균 (Boredetella pertussis) 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입니다.2.백일해는 어떻게 전파되나요?■감염된 사람이 기침이나 재채기 등을 할 때 비말을 통해 전파가 가능합니다.■유증상 감염자의 침, 콧물 등이 묻은 물건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전파가 가능해요! 3. 백일해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백일해의 잠복기는 일반적으로 7~10일 (최소 4일~ 최장 21일)입니다. 증상은 다양하지만 크게 3가지 단계로 진행되고 발열은 심하지 않습니다. 1) 카타르기 (1~2주) - 일반적 감기와 비슷하고 전염력이 가장 높습니다. - 콧물, 재채기, 가벼운 기침이지만 점점 심해집니다. 2) 경해기 (4주 이상) / 백일해 면역력이 없는 가족 내 접촉자에서는 70~100% 전파 가능! - 매우 심한 기침, 발작성 기침으로 밤에 더 흔하고, 하루 평균 15회 이상 발생합니다. - 숨을 들이쉴 때 높은 소리의 훕 (Whoop) 소리가 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 소아와 아기는 기침을 하는 동안 얼굴이 파래질 수 있고, 구토를 하거나 탈진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기침 발작 사이엔 아파 보이진 않습니다. 3) 회복기 (2~3주) - 발작성 기침이 서서히 줄면서 2~3주 내 사라집니다. 4. 백일해의 증상은 무엇인가요?■백일해에 걸리면 학교, 어린이집 등 전파 차단을 위해 전염기간 동안 등교, 등원을 중지하고 집에서 격리합니다. ※ 등교, 등원 중지기간 - 적정항생제 복용 시 : 투여 후 5일까지 격리 - 치료받지 않는 경우: 기침 멈출때까지 최소 3주 이상 격리■백일해 환자와 접촉한 사람은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상담 후 예방적 항생제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5. 백일해 예방법은?■예방점종: 접종일정에 맞춘 예방접종이 가장 중요합니다!■기초접종: DTaP (생후 2개월) → DTaP (생후 4개월) → DTaP (생후 6개월)■추가접종: DTaP (생후 15~18개월) → DTaP (4~6세) → Tdap (11~12세)■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기침예절 실천: 휴지나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기■실내에서는 자주 환기하기: 하루 최소 3회, 매회 10분 이상■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기침 증상이 있는 경우 마스크 착용하고 의료기관 방문하여 진료받기 백일해 예방을 위해 일상생활 속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모두가 해피 스마일 ^______^
2024.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