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봉구 보건소

보건사업

보건사업

건강도시 사업의 역사

  • 1978년 알마타 선언과 1986년 오타와 헌장의 건강증진 개념을 기초로 도시지역에서 “만인을 위한 건강”의 이념을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고 이를 지방정부에서 의제로 채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작하였다.
  • 1986년 캐나다 오타와에서 1차 국제 건강증진회의를 개최 오타와 헌장을 채택하여 건강증진사업을
    • 건강한 공공정책
    • 지지적 환경창출
    • 지역사회 활동강화
    • 개인적 기술개발
    • 보건의료서비스의 재조정의 5가지 기본영역으로 마련하였다.
  • 1986년 세계보건기구 유럽 및 북미 지역사무국에서 16개나라 30개 도시가 건강도시사업을 시작하였으며, 서태평양지역은 1980년대 말 일본, 호주, 뉴질랜드에서 시작하였다. 1991년 세계보건기구 총회에서 선진국, 개발도상국 모두에서 도시의 건강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건강도시 사업을 지목하였으며, 세계 지역별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정보교환, 경험공유, 상호간 지지체계 확립, 새로운 전략개발, 결과 및 아이디어 공유, 파트너쉽 형성 등을 위하여 1,000여개 도시에서 공동으로 노력하고 있다.

한국에서의 건강도시사업의 역사

  • 1997년
    • 과천시 보건소와 연세대학교 건강증진 연구소에서 보건소 중심의 건강증진사업의 일환으로 건강도시 프로젝트 기획
    • 활동영역
      • 화보의 발행
      • 금연 및 흡연 - 예방프로그램
      • 영양프로그램
      • 모성 및 여성 건강프로그램
      • 지역건강관리정보체계
      • 고혈압 예방 및 통제
      • 체육활동 및 휴양프로그램
      • └→보건소 중심의 건강증진 사업에 국한되어 엄격한 의미의 건강도시 프로젝트라 할 수 없음
  • 2002년
    • 본격적인 건강도시 프로젝트 시작(경남 창원시 중심, 서울특별시, 원주시, 부산진구 등)
  • 2004년
    •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 사무국 산하 건강도시 회원도시들의 네트워크를 위한 협의체(Alliance for Healthy Cities)에 창립 회원도시로 가입하게 됨으로써, 세계적인 정보 교류 및 친교를 착수하게 되었다.

자료담당부서

  • 자료담당부서

    보건정책과 문민영

  • TEL

    02-2091-4423

  • 최종수정일

    2021-03-04

홈페이지 정보가 도움이 되셨습니까?

페이지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의견남기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