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알려드립니다
-
안전한 먹거리 제공을 위한 2025년 산가 관리 사업 안내
다량의 기름을 사용하는 음식점에서 적절한 시기에 교체하지 않고 사용하는 등 위생관리가 필요함에 따라 산가 관리를 통해 보다 안전하고 신선한 식품을 구민에게 제공하고자 산가 관리 사업을 시행하고자 합니다.대상업소 관계자 분께서는 안내문을 참고하시어 다소 불편하시더라도 식품접객업소의 위생수준 향상을 위해 점검에 적극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점검개요○ 대 상: 튀김용 기름을 주로 사용하는 음식점(폐업 등 상황에 따라 추후 변동 가능)○ 사업기간: 2025. 4. ~ 11.○ 점검인원: 도봉구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2인○ 점검사항: 첨부파일 참조※ 안내문은 다운로드 후 읽어주시기 바랍니다.관련 문의사항: ☎ 02-2091-4493
2025.04.14
-
식품접객업 영업신고사항 직권말소 사실 공시송달 공고
1. 아래의 고시공고를 [홈페이지][게시판]에 게재 하고자 합니다.2.「식품위생법」제37조(영업허가 등)제7항에 따라 사실상 폐업하여 관할 세무서에서 사업자등록 폐업된 업소(영업자)의 영업 신고사항 직권말소 사실을「행정절차법」제14조(송달)의 규정에 따라 아래와 같이 공시송달 공고합니다. 가. 대상업소: 붙임 참조 나. 처분의 원인이 되는 사실: 「식품위생법」제37조제7항 - 사실상 폐업하여 「부가가치세법」제8조에 따라 사업자등록 폐업함. 다. 처분내용: 식품접객업 신고사항 직권말소 라. 공고기간: 2025. 4. 11.~4. 28. 마. 유의사항 - 행정처분(직권말소)에 대하여 이의가 있는 경우 처분이 있음을 안 날로부터 90일 이내, 처분이 있은 날로부터 180일 이내 서울특별시행정심판위원회에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으며, 또한 처분이 있음을 안 날로부터 90일 이내, 처분이 있은 날로부터 1년 이내에 서울행정법원에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바. 문의사항: 도봉구보건소 보건위생과(☎ 02-2091-4469)붙임: 영업신고사항 직권말소 사실 공시송달 공고 1부. 끝.
2025.04.11
-
2025년 서울 다태아 안심보험 지원사업 안내드립니다
2025년 서울 다태아 안심보험 지원사업 안내▣지원대상: 2024. 1. 1.부터 출생한 서울시 거주(주민등록) 다태아▣사업내용 ○ 보험가입: 2024. 1. 1. 부터 출생한 서울시 거주 다태아 자동가입 ※타시도에서 출생한 다태아 서울시 전입시 자동가입, 서울시 거주 다태아 출생아 타시도 전출시 자동해지 ○ 보장기간: 출생일로부터 2년 ○ 주요보장: 응급실 내원비, 특정 전염병 진단비, 골절·화상 수술비, 상태 또는 질병치료 입원비, 암진단비 등 지급다태아 안심 보험 주요 보장 내용※타 보험과 관계없이 중복보장 가능- 응급 사유로 응급실 내원 시 응급실 내원비- 특정 전염병(홍역,볼거리,일본뇌염,백일해 등)진단비- 골절 수술비,화상 수술비,깁스 치료비- 24시간 상해 입원비(일당),질병수술동반 입원비(2일이상20일 한도)- 상해흉터복원 수술비,탈구·신경손상·으깸손상 진단비- 온열질환 진단비(1회 한도)- 외모(얼굴,머리,목)추상장해- 암진단비(피부암 및 갑상선암 제외)- 암진단비(상피내암),암진단비(경계성종양),암진단비(기타피부암)-결핵진단비,개물림사고 응급실내원비 등※정확한 세부 보장내용 계약보험사(메리츠화재보험)약관 확인 필요▣보험금 청구방법 ○ 접수창구: 메리츠화재보험 웹사이트(https://mbi.seoul.insboon.com) ○ 구비서류: 보험금 청구서, 주민등록등본, 출생증명서, 진료비영수증, 통장사본 등▣문의: 메리츠화재보험 고객센터(☎ 1522-6545) 붙임1.서울 다태아 안심보험 지원사업 개요1부. 2.다태아 안심보험 리플렛 및 포스터 각1부. 끝.
2025.04.11
-
일반음식점 영업신고사항 직권말소 예정공고
「식품위생법」제37조(영업허가 등)제7항 및 동법 시행규칙 제47조의2(영업신고 또는 등록사항의 직권말소 절차)에 따라 세무서에 사업자등록 폐업신고를 한 영업자의 영업신고 사항에 대한 직권말소 예정 사항을 아래와 같이 공시(공고)합니다.가.공고명칭:일반음식점 영업신고사항 직권말소 예정공고나.공고기간: 2025. 4. 11.(금)~2025. 4. 30.(수)다.법적근거:「식품위생법」제37조제7항 및 동법 시행규칙 제47조의2라.게재방법:도봉구청 홈페이지 및 도봉구보건소 게시판마.대상업소 및 공시내용: [붙임]참조.
2025.04.11
건강소식
-
생활 속 자가(self) 건강관리 안내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행한 '생활 속 자가 건강관리 안내서'를 pdf로 올려드리니,생활 속에서 필요한 자가(self) 건강관리 방법과 증상별 정도에 따른 행동 지침을 확인하세요!발행처: 국민건강보험공단발행일: 2023. 5.관련문의: 1577-1000
2024.06.20
-
중동지역 여행자를 위한 메르스 예방수칙
- 발열 - 기침 - 인후통 - 호흡곤란 - 설사 - 구토" src="https://www.kdca.go.kr/html/a2/namoimage/images/000155/240531_%EB%A9%94%EB%A5%B4%EC%8A%A4-%EC%98%88%EB%B0%A9%EC%88%98%EC%B9%99_%EC%88%98%EC%A0%95_2.jpg"> 2~14일(평균 5일), 20~46% 정확한 전파경로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으나 중동지역 단봉낙타 접촉에 의한 감염 전파 보고, 사람 간 감염은 병원 내·가족 간 감염 등 밀접접촉에 의한 전파" src="https://www.kdca.go.kr/html/a2/namoimage/images/000155/240531_%EB%A9%94%EB%A5%B4%EC%8A%A4-%EC%98%88%EB%B0%A9%EC%88%98%EC%B9%99_%EC%88%98%EC%A0%95_3.jpg"> 건강상태 질문서(또는 Q-CODE) 제출, 의심증상이 있거나 확진환자와의 접촉을 알았을 경우 검역관에게 알리기 발열, 기침, 숨가쁨 등 의심증상이 발생한 경우나 확진환자와의 접촉을 알았을 경우 의료기관 방문 전 1339 또는 보건소로 신고" src="https://www.kdca.go.kr/html/a2/namoimage/images/000155/240531_%EB%A9%94%EB%A5%B4%EC%8A%A4-%EC%98%88%EB%B0%A9%EC%88%98%EC%B9%99_%EC%88%98%EC%A0%95_6.jpg">메르스(MERS)란?중동호흡기증후군 (메르스/MERS)은 중동호흡기 증후군을 유발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CoV)에 의한 호흡기 감염증1.메르스의 증상 및 징후○주요증상: 발열, 기침, 인후통, 호흡곤란, 설사, 구토 2. 메르스의 잠복기 및 감염경로○잠복기, 치명률 : 2~14일 (평균 5일), 20~46%○감염경로: 정확한 전파경로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으나 중동지역 단봉낙타 접촉에 의한 감염 전파 보고, 사람 간 감염은 병원 내, 가족 간 감염 등 밀접접촉에 의한 전파 3. 아직도 메르스가 발생하나요?○지금도 일부 중동지역에서는 메르스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구 분2024년2023년2022년2021년2020년2019년총계46172065222사우디45101861205UAE010231오만0020013카타르005013 4. 중동지역 여행 시 메르스 예방수칙○물과 비누로 자주 손 씻기: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지 않기○낙타와의 접촉 도는 익히지 않은 낙타고기, 생낙타유 섭취하지 않기○진료 목적 이외 현지 의료기관 방문 및 사람이 붐비는 장소 방문 자제 (부득이한 경우 마스크 착용)○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 피하기○기침, 재채기를 할 경우 옷소매로 입과 코 가리기 5. 중동지역 여행 후 주의 사항○입국 시 : 건강상태 질문서 (또는 Q-CODE) 제출, 의심증사잉 있거나 확진환자와의 접촉을 알았을 경우 검역관에게 알리기○입국 후 14일 이내: 발열, 기침, 숨가쁨 등 의심증상이 발생한 경우나 확진환자와의 접촉을 알았을 경우 의료기관 방문 전 1339 또는 보건소로 신고건강하고 안전한 중동지역 여행을 위해 잊지 마세요!①출국 전 메르스 정보와 예방수칙 확인하기②여행 중 메르스 예방수칙 지키기③입국 후 14일 이내 호흡기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병원 가기 전 1339 또는 가까운 보건소 전화하기
2024.06.04
-
훕(Whoop)소리가 나는 발작성 기침이라면 백일해를 의심해 보세요!
- 일반적 감기와 비슷하고 전염력이 가장 높습니다. - 콧물, 재채기, 가벼운 기침이지만 점점 심해집니다. - 매우 심한 기침, 발작성 기침으로 밤에 더 흔하고, 하루 평균 15회 이상 발생합니다. - 숨을 들이쉴 때 높은 소리의 훕(Whoop)소리 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 소아와 아기는 기침을 하는 동안 얼굴이 파래질 수 있고, 구토를 하거나 탈진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기침 발작 사이엔 아파 보이진 않습니다. - 발작성 기침이 서서히 줄면서 2~3주 내 사라집니다." src="https://www.kdca.go.kr/html/a2/namoimage/images/000153/240424-%EB%B0%B1%EC%9D%BC%ED%95%B4-%EC%98%88%EB%B0%A9%EC%88%98%EC%B9%993_1.jpg"> 접종일정에 맞춘 예방접종이 가장 중요합니다!" src="https://www.kdca.go.kr/html/a2/namoimage/images/000153/240424-%EB%B0%B1%EC%9D%BC%ED%95%B4-%EC%98%88%EB%B0%A9%EC%88%98%EC%B9%995_1.jpg">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휴지나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기 하루 최소 3회, 매회 10분 이상 " src="https://www.kdca.go.kr/html/a2/namoimage/images/000153/240424-%EB%B0%B1%EC%9D%BC%ED%95%B4-%EC%98%88%EB%B0%A9%EC%88%98%EC%B9%996_1.jpg">훕(Whoop)소리가 나는 발작성 기침이라면 백일해를 의심해 보세요!1.백일해란? 백일해균 (Boredetella pertussis) 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입니다.2.백일해는 어떻게 전파되나요?■감염된 사람이 기침이나 재채기 등을 할 때 비말을 통해 전파가 가능합니다.■유증상 감염자의 침, 콧물 등이 묻은 물건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전파가 가능해요! 3. 백일해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백일해의 잠복기는 일반적으로 7~10일 (최소 4일~ 최장 21일)입니다. 증상은 다양하지만 크게 3가지 단계로 진행되고 발열은 심하지 않습니다. 1) 카타르기 (1~2주) - 일반적 감기와 비슷하고 전염력이 가장 높습니다. - 콧물, 재채기, 가벼운 기침이지만 점점 심해집니다. 2) 경해기 (4주 이상) / 백일해 면역력이 없는 가족 내 접촉자에서는 70~100% 전파 가능! - 매우 심한 기침, 발작성 기침으로 밤에 더 흔하고, 하루 평균 15회 이상 발생합니다. - 숨을 들이쉴 때 높은 소리의 훕 (Whoop) 소리가 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 소아와 아기는 기침을 하는 동안 얼굴이 파래질 수 있고, 구토를 하거나 탈진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기침 발작 사이엔 아파 보이진 않습니다. 3) 회복기 (2~3주) - 발작성 기침이 서서히 줄면서 2~3주 내 사라집니다. 4. 백일해의 증상은 무엇인가요?■백일해에 걸리면 학교, 어린이집 등 전파 차단을 위해 전염기간 동안 등교, 등원을 중지하고 집에서 격리합니다. ※ 등교, 등원 중지기간 - 적정항생제 복용 시 : 투여 후 5일까지 격리 - 치료받지 않는 경우: 기침 멈출때까지 최소 3주 이상 격리■백일해 환자와 접촉한 사람은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상담 후 예방적 항생제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5. 백일해 예방법은?■예방점종: 접종일정에 맞춘 예방접종이 가장 중요합니다!■기초접종: DTaP (생후 2개월) → DTaP (생후 4개월) → DTaP (생후 6개월)■추가접종: DTaP (생후 15~18개월) → DTaP (4~6세) → Tdap (11~12세)■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기침예절 실천: 휴지나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기■실내에서는 자주 환기하기: 하루 최소 3회, 매회 10분 이상■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기침 증상이 있는 경우 마스크 착용하고 의료기관 방문하여 진료받기 백일해 예방을 위해 일상생활 속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모두가 해피 스마일 ^______^
2024.05.09
-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꼭 지켜주세요!
가족, 친구, 연인과 야외활동을 계획하고 있나요?1.진드기에 물리면 감염병에 걸릴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진드기는 풀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 서식하며,사람 또는 동물을 무렁 흡혈합니다.■주로 텃밭작업 등 농작업 시감염 위험이 높으며, 등산, 캠핑, 산책 등 일상생활에서도 진드기에 물릴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2. 진드기 매개 감염병이란?■바이러스나 세균에 감염된 일부 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며, 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 감염병의 종류로는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SFTS), 라임병등이 있습니다. 3. 쯔쯔가무시증이란?■정의: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감염되는 열성 질환■잠복기: 10일 이내■환자 발생시기: 연중 (특히 10~11월에 집중 발생)■증상: 발열, 근육통, 오한, 발진, 검은 딱지(가피) 등■누적 치명률: 약 0.2% (2011~2023년 기준)4.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SFTS) 이란?■정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바이러스에 감염된 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 열성 질환■잠복기: 5~14일■환자 발생시기: 4~11월■증상: 고열 (38도 이상), 소화기 증상 (오심, 구토, 설사, 식욕부진 등), 의식저하, 혈소판 감소 등■누적 치명률 18.7% (2013~2023년 기준) ※ SFTS는 백신과 치료제가 없으므로 예방수칙 준수와 환자 조기인지 및 적기치료가 중요합니다.5. 라임병이란?■정의: 보렐리아속균에 감염된 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 질환■잠복기: 3~30일■환자 발생시기: 연중■증상: 발열, 유주성 홍반 (과녁 모양의 발진), 오한, 피로감, 두통, 관절통■치명률: 0.1% 미만6. Q&A■진드기에 물렸다면?크기가 작아 물렸는지 모르는 경우도 많습니다. 진드기에 물렸다면 손으로 터트리거나 떼지 말고 반드시 보건소,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드기를 제거해 주세요. [주의]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진드기를 손으로 터트릴 경우 2차 감염 우려가 있습니다.■의료기관 방문이 어렵다면,1) 손으로 떼지 말고 핀셋을 사용하세요.2) 피부 깊숙이 핀셋을 밀어 넣은 후 진드기 머리 부분을 잡고 수직으로 천천히 제거해 주세요.3) 해당 부위를 소독해 주세요! 7.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을 지키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1) 야외활동 또는 농작업 전■진드기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복장 갖춰입기(밝은 색 긴 옷, 모자, 목수건, 목이 긴 양말, 장갑 등)■진드기 기피제 사용하기■작업복과 일상복 구분하여 입기 2) 야외활동 또는 농작업 중■풀밭에 앉을 떄 돗자리 사용하기■풀 위에 옷 벗어놓지 않기 / 풀밭에서 용변보지 않기■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기피제의 효능 및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사용하기 3) 야외활동 또는 농작업 후■귀가 즉시 옷은 털어서 세탁하기■샤워(목욕)하면서 몸에 벌레 물린 상처 또는 진드기가 붙어있는지 확인하기■발열 등 증상 발생 즉시 의료기관 (감염내과) 방문하여 진료받기8.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꼭 기억해 주세요!■야외활동 또는 농작업 후2주 이내 발열 등 증상 발생 시 의료기관 (감염내과) 방문하여 진료받기■병원진료 시의료진에게 야외활동력 또는 농작업 알리기나와 내 가족, 지인의 건가을 지키기 위해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꼭 지켜주세요!
2024.04.29